관리자로그인

물놀이 후 ‘토끼눈’ 방치땐 시력 ‘뚝뚝’...여름철 불청객 ‘결막염’

발행일자 : 2025-08-10

최근 더위를 피해 바다로 피서를 다녀온 40대 김모씨는 눈이 충혈된 것을 발견했지만, 대수롭지 않게 넘겼고 며칠이 지나도 이물감과 가려운 증상이 가라앉지 않아 병원을 찾은 후에야 바이러스성 결막염을 진단받았다. 요즘처럼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에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급증하는 경향이 높다. 물놀이 후 눈이 간질간질 하거나 피서 뒤 찾아오는 눈의 불청객, 결막염에 대해 알아본다.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과 계곡, 바다 등지로 떠나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다.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에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급증하는데 이를 단순한 눈의 피로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 또는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결막염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구분된다. 특히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며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전염력이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도 쉽게 옮을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형태로 ▲자외선 노출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등이 주요 원인이다.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하거나 자극적인 경우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눈의 충혈 ▲이물감 ▲가려움 ▲눈곱 증가 등이 있다.


여름철 결막염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속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렌즈 착용 전후 손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하며, 특히 물놀이 후 콘택트렌즈 착용이나 눈을 비비는 습관이 염증을 악화시키거나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햇빛이 강한 날에는 선글라스나 안경을 착용, 자외선 노출을 줄이고 자주 사용하는 수건이나 베개, 침구류는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김동현 고려대병원(안암) 안과 교수는 “결막염은 대부분 가볍게 지나가는 질환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지만 방치할 경우 각막까지 염증이 번지거나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눈 건강은 소홀하기 쉬운 만큼 작은 불편도 가볍게 넘기지 않고 살피는 자세가 중요하다”며 “간단한 생활 습관만으로도 결막염을 예방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경기일보      용인son뉴스



목록보기

최신뉴스

용인시청, 대통령기조정 남일반...
경기아트센터, 전국 클래식 꿈...
양평군, 양평·양근대교 난간 ...
전용기 “사법시스템 신뢰 바닥...
[건강칼럼] 삶의 질 회복하는...
수원시청 최민선, 하계실업검도...
물놀이 후 ‘토끼눈’ 방치땐 ...
10월 10일 '임시공휴일' ...
제20회 과천토리배 전국 3X...
오원석, 데뷔 첫 10승 쾌투...
류마티스 관절염, 조기 진단·...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오산시의사회, 제6회 학술대회...
초록우산 경기남부가정위탁지원센...
kt sports·경희대, 산...